저온화상, 약한 온도에 지속적인 노출되면 위험
예전과는 달리 1인용 소형 전열제품등이 다양해 졌습니다.
휴대용 핫팩이나 전기충전식 의류, 전기장판, 온열방석, 온열장갑 등.
특히나, 전기장판, 이불 등은 우리나라 가정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겨울이 되면서
집이나 사무실에서 개인용 난방기기나 소형 전열기기를 사용하는 곳은 거의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자신도 모르게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화상은 고온의 열로만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45도 정도의 열에도 피부가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약한열에 오랫동안 음식을 데우듯이
데지 않을 것 같은 낮은 온도에 피부를 지속시켜 노출이 되면서
화상을 입는 것을 저온화상이라 합니다.
뜨겁다고 느끼지 못하는 사이 피부 깊게 열이 침투하기 때문에 인지할수가 없어 더욱 위험합니다.
저온화상은 피부가 붉어지는 가벼운 증상으로 끝날 수도 있지만
심하면 물집이 잡히고 피부 괴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뜨거움을 느끼지 못해
자신의 의지대로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유아나 노약자, 환자 등은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전열 기구를 쓸 때는 경우 적당한 거리를 유지해야 하고
전기장판, 온수매트의 경우 직접 피부에 닿지 않도록 그 위에 이불을 깔아 사용하는 게 안전합니다
또 전원을 켜고 잠자리에 들지 않는 것이 좋으며,
전원을 켜둔 상태로 잠을 자야 하는 경우 반드시 저온으로 온도를 맞추거나 타이머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옷에 붙이는 핫팩을 사용할 때에는 우선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하고,
피부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반드시 옷 위에 붙여야 합니다
저온화상이 의심되면 시원한 수돗물이나 생리식염수 등으로 화상 부위의 온도를 낮춰줘야 합니다.
저온화상은 작은 물집이나 발진 정도만 나타난다고
내버려 두거나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있어
응급처치 후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