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라떼 효과란, 무심코 사소한 것에 쓰는 낭비



카페라떼 효과(caffe latte effect)란

소액저축의 중요성을 뜻하는 말을 뜻하며

무심코 사소한 것에 쓰는 낭비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단어입니다.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지출하는 소액의 기호식품에 대한 기회 비용을 계산할 때를 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매일 사먹는 커피 가격이 

4천원~5천원 정도라면 이를 사먹지 않고 저축할 경우 한달에 12~15만원 가량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더 크게 본다면

30년간 저축하면 물가 상승률과 이자 등을 포함해 약 2억원 이상의 자금이 모이게 됩니다. 

복리 효과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저축액은 더욱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 단어를 처음 고안한 사람은 미국의 재정 전문가 데이비드 바흐. 


그는 자신의 자산관리 지침서에서 

4달러 짜리 스타벅스 카페라떼를 예로 들며 무심코 하는 소액 지출을 줄이거나 

다른 것으로 대체해 장기적으로 저축하라고 말한바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 '시가렛 효과(cigarette effect)'가 있습니다. 


담배값이 4천500원으로 인상된 후 이에 대한 지출을 줄여 금연을 할 경우 비슷한 효과를 보는것. 


굳이 카페라떼가 아니더라도 

담배, 음료수, 택시, 군것질, 게임 머니 등 소액이지만 크게 필요하지 않고, 

반복적인 지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