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막으려면 ‘KF80’ 이상 마스크 써라



미세먼지와 황사를 막기 위해서는 일반용 마스크가 아닌 
‘KF80’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를 쓰는 것이 좋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보건용 마스크 
‘KF80’ 등급은 평균 86.1%,
‘KF94’ 등급은 평균 95.7%, 
‘KF99’ 등급은 평균 99.4%의 차단 성능을 보였다고 4일 밝혔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5월 보건용 마스크 39개와 
일반 마스크 11개 등 총 50개 마스크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차단 성능을 평가하는 ‘분진포집효율 시험’ 결과를 공개하며 이같은 결론을 냈다. 

‘KF’란 ‘코리아 필터’(Korea Filter)의 약자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보건용 마스크의 성능을 인증하는 마크다. 


뒤에 붙은 숫자는 마스크의 입자 차단 성능 인증 기준이자 등급이다. 
‘KF80’은 80% 이상, 
‘KF94’는 94% 이상,
‘KF99’는 99% 이상 미세먼지 입자를 차단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원에 따르면, 
차단 실험에 쓰이는 먼지는 ‘KF80’ 등급의 경우 지름 평균 0.6㎍,
‘KF94’ 등급은 지름 평균 0.4㎍ 크기였다. 

일반 미세먼지 PM10(지름 10㎍ 이하)과 PM2.5(지름 2.5㎍)는 
이보다 크기가 훨씬 크다. 따라서 보건용 마스크는 
실제로는 훨씬 높은 차단 성능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보건용 마스크가 아닌 일반 마스크는 분진포집효율 시험 결과 
차단 비율이 평균 46%에 그쳤다. 
공기에 떠다니는 미세먼지의 절반 이상을 그대로 들이마신다는 뜻이다.

연구원은 “‘KF80’ 등급 보건용 마스크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1천 배 확대해 관찰한 결과 필터 표면에 차단된 미세먼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성능이 좋은 보건용 마스크라도 비누로 빨고 다시 사용할 수는 없다. 
연구원이 보건용 마스크를 비누로 손세탁한 뒤 다시 시험했더니 
미세먼지 차단 능력이 22.8% 떨어졌다.

연구원은 “보건용 마스크는 개인이 
‘1군 발암물질’인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꼭 ‘KF94’ 등급이 아니더라도 ‘KF80’ 등급 이상의 보건용 마스크를 쓰면 
PM2.5까지 충분히 차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