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어른' 허태균 교수, 한국인들 죽어라 열심히 일하고 산것이 죄일 뿐이다..



‘어쩌다 어른’이 심리학 강의를 선보였습니다.


대한민국 어른들의 마음을 꿰뚫어보는 심리학 특집인데

허태균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김경일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의 강연이었습니다.


허태균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가 ‘대한민국 철수 영희의 심리’를 주제로 강의를 펼쳤는데



이날 강의에서 허태균 교수는

한국인의 특징으로 ‘가족확장성’을 꼽았습니다.


“한국인은 가족을 사회의 중심으로 인식하고 사회체계를 가족적 속성으로 인식한다”

식당 종업원이나 친한 친구를 ‘언니’, ‘이모’라고 부르는 것 처럼

“그만큼 우리나라의 가족성은 단지 가족에게 한정되는 게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두 번째 특징으로 ‘심정중심주의’

“한국인은 마음의 상태에 대한 인식과 공유를 중시하고 행동보다는 그 의도와 정서를 고려한다”

‘욕쟁이 할머니’에 거부감 보다는 

따뜻함을 느끼는 것처럼 행동보다 마음을 중시하고, 정에 민감하다는 것입니다. 



허태균 교수는 

“한국 사람들은 인고의 화신이다”

“자신이 힘들고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으면 나중에 보상 받을 거라고 믿지만 그건 착각이다. 자신이 겪은 노고가 나중에 아무 의미가 없어진다는 것을 받아들이기 힘들기 때문에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는 것”

이라고 말해 씁쓸한 현실을 드러냅니다.



이날 연예인 패널로는

개그맨 김효진, 황제성, 가수 자두, 지상혁이 나왔는데

한국인의 특징에 공감하며 ‘지금 대한민국 어른들에게 딱 필요한 강의’라며 극찬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